경기도민 10명 중 7명 “생활물가 힘들다”… 절반은 ‘경제 이해 교육’ 원해

0
5

경기도민 10명 중 5명 이상이 물가 상승과 같은 경제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법을 배우고 싶다고 답했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5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5%p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 또는 ‘다소’ 심각하게 느낀다고 답했으며, 여성(90.3%)과 30대(88.5%), 50대(87.7%)에서 특히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생계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70.4%를 기록했다. 전체 응답자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답했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매우 어렵다’는 응답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32.8%로 조사됐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가장 우선돼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이 41.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기초 식재료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특히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59.8%는 물가 대응 교육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선호하는 방식은 ‘언제든지 시청 가능한 온라인 강의’가 55.2%로 가장 높았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물가 상승이라는 구조적 변화를 도민이 단순히 체감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학습을 통해 대응 역량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면서 “정부 바우처 제도인 ‘평생교육이용권’을 적극 활용해 도민이 필요한 경제 교육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평생교육이용권’은 도민 누구나 경제적 제약 없이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강좌 수강료와 교재비를 1인당 최대 35만 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급된 포인트는 평생교육시설, 평생직업교육학원 등 지정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출처 : 경기도뉴스포털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