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에 제철을 담다…냉동 시금치로 여는 경기도 ‘기후급식’ 시대

0
7

경기도가 폭염 등 기후 위기로 인한 농산물 생산 불안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철에 수확한 농작물을 냉동 보관 했다가 가격 급등 시기에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8월부터 친환경 냉동 시금치 2톤을 친환경 등 우수농산물 학교 급식 지원 사업’ 참여 학교에 시범 공급한다고 밝혔다.

도는 시금치 가격이 급등하는 시기를 대비해 제철에 수확한 시금치를 냉동 저장했다며지난해 이상 고온에 따른 시금치 가격 급등으로 학교 급식 현장이 큰 어려움을 겪었던 상황을 감안한 선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올해 역시 폭염으로 주요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시금치가 90% 이상 급등한 상황이다.

도는 도내 친환경농가학교농업전문가경기도농수산진흥원시군급식지원센터로 구성된 품질기준협의체를 운영해 기후 위기 시대에 맞는 학교 급식 공급 기준 마련을 논의해 왔으며냉동 시금치 시범 공급은 협의체를 통해 도출된 경기도형 기후급식’ 모델의 첫 실천 사례다.

앞으로도 이상 기온으로 농산물 생 육 불안정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적기에 수확한 농산물을 냉동 보관하고 필요 시 공급하는 방식은 가격 변동을 완화하고 공급을 안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농가는 안정적 판로와 소득 확보학교는 급식 예산 부담 경감학생들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공 급식 이용농산물 폐기 및 농업 부문 탄소 감축 기여 등 1석 4조의 효과가 있는 정책이다.

도는 친환경 등 우수 농산물 사업에 참여하는 도내 2,337개교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냉동 시금치 2톤을 공급할 예정이며수요와 만족도 등을 분석해 향후 이러한 방식의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박종민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이번 공급은 단순한 냉동 농산물 공급이 아닌기후 환경에 맞춘 친환경 농산물 품위 기준’ 첫 적용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며 앞으로도 기후 농정이라는 비전 아래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공공 급식을 통한 기후 정의 실현에도 기여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경기도는 지난 3월에는 학교 공급 규격보다 작지만 품질에 문제가 없는 가정용 크기의 감자 18톤을 공급해 학교 현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출처:경기도뉴스포털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